안녕하세요~ 문의하신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에서 저수준에 욕구가 먼저 채워지고 그다음단계로 넘어가는데, 혹시 만약 문제에서 전단계가 완전히 욕구가 채워져야 다음 단계 욕구로 넘어간다. 이러한문제가 나오면 틀렸다고 생각해도되는지... 행정학개론에서도 동기부여이론이 나오는데 거기선 "완전히가" 나오면 틀렸다고 한다는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매슬로우는 저수준의 욕구가 충족되면 상위욕구가 발생하면서 이전의 욕구는 어느정도 충족이 되었기 때문에 더이상의 욕구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즉 상위욕구구가 발생하려면 이전 하위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었다는 의미이며, 이것을 "완전한" , 또는 "완벽한"이라고 표현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매슬로우의 욕구계증이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이론은 인간의 성장 단계를 설명하는 발달 심리학의 많은 이론과 맥을 같이합니다. 매슬로우는 인간의 동기가 일반적으로 움직이는 양상을 묘사하기 위해 각 동기 단계를 생리적, 안전, 애정과 소속, 존중, 그리고 자아 실현의 욕구로 명명했습니다. 매슬로우는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신경증적 기질을 가진 사람들보다는 대중에게 본보기가 될 만한 사람들, 이를테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제인 아덤스, 루스벨트와 같은 모범적인 인물을 탐구함으로써 인간의 동기 양상을 살펴보았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가장 건전하고 건강한 상위 1%의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는 우성 계층(hierarchy of prepotency)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즉, 어떤 욕구는 다른 욕구보다 우선권을 가진다는 것인데, 이러한 욕구의 위계적 계층은 고정되어 있다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서 하위 계층의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상위 계층의 욕구가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욕구 피라미드의 하단에 위치한 4개 층은 가장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욕구로 구체적으로는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과 소속의 욕구, 그리고 존중의 욕구입니다. 이 네 가지 욕구는 충분히 충족되지 않거나 부족할 경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매슬로우는 이들을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 혹은 줄여서 ‘d 욕구(d-needs)’로 명명했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고 나서야 사람들은 부차적인 혹은 상위 단계의 욕구에 대해 강한 열망을 가지게 된다는 것인데,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매슬로우는 기본적인 욕구 충족을 넘어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동기를 상위 동기(메타 동기, metamotivation)라는 용어로 설명했습니다.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