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제를 풀다가 '표준화 면접은 비표준화 면접보다 타당도가 높다' 가 틀린 선지라고 하길래 이해가 안가서 인터넷 블로그 찾아봣는데 표준화 면접은 비표준화 면접에 비해 응답결과에 있어서 신뢰도가 높으나 타당도가 낮다. 비표준화 면접은 표준화 면접에 비해 응답결과에 있어서 타당도가 높지만 신뢰도는 낮다. 라고 나와있는데 도저히 이해가 안갑니다ㅜ.ㅜ 어떤게 맞는건가요?
댓글/1000
답변 1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평민채택 02019-11-21 15:23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첫째, 면접법에서의 유형을 먼저 이해하셔야 할꺼 같습니다. ㅇ 표준화면접이란, 면접자가 피면접자에게 면접에서 물어볼 내용을 사전에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면접조사표를 만들어 상황에 구애됨이 없이 모든 피면접자에게 동일한 질문순서와 동일한 질문내용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으로 '구조화된 면접'이라고도 합니다. * 비표준화된 면접에 비해 응답 결과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지만, 타당도는 낮게 됩니다. 즉, 면접의 신축성.연성이 낮습니다. * 반복적인 면접이 가능하며, 면접 결과에 대한 비교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ㅇ 비표준화된 면접이란, 면접자가 피면접자와 면접에 대하여 구체적인 질문항목을 계획하거나 만들지않고, 자유롭게 면접에 대한 질문을 상황에 맞춰 질문하여 피면접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비구조화된 면접'이라고 합니다. * 표준화면접에 비해 응답 결과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타당도가 높지만, 신뢰도는 낮습니다. 즉, 면접의 신축성.유연성이 높으며, 깊이 있는 측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반복적인 면접이 불가능하며, 면접 결과에 대한 비교가 어렵습니다.
둘째, 타당성과 신뢰성에 대하여 알아야할 꺼 같습니다. ㅇ 타당성이란,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을 측정하는 것으로 '정확성'이라고도 합니다. ㅇ 신뢰성이란,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결과가 일관성이 결과값이 나아야 한다는 것으로 '일관성'이라고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표준화면접(구조화된 면접)이 타당도가 낮은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표준화된 면접을 사전에 면접계획을 통해 필요한 질문형식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2. 다양한 욕구나 문제가 있는 피면접자에게 욕구나 문제가 맞게 질문하기 보다는 미리 만들어 놓은 질문형식으로 질문을 하다보니, 피면접자의 욕구나 문제와 거리가 먼 질문들도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3. 따라서, 미리 구조화시킨 질문 형식을 신속성 질문과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을 수 있겠지만, 다양한 욕구나 문제를 갖고 있는 피면접자에게 동일한 질문으로 피면접자의 욕구나 문제를 모두 확인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4. 그러니, 정형화된 질문형식으로 피면접자의 다양한 욕구나 문제를 확인할 수 없으니 '정확성'이 떨어지게 됨으로, 타당도(성)이 낮다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