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1. 동인은 김효원과 같은 신진사림으로 구성되었으며 서경덕, 조식, 이황의 학문을 계승했다 서인은 심의겸과 같은 기성사림으로 구성되었으며 성혼, 이이의 학문을 계승했다 2. 이 : 이언적(주리론 선구자) -> 이황(주리론 완성) 기 : 서경덕 (주기론 선구자) -> 이이 (주기론 완성) 3. 이황의 제자인 김성일, 유성룡 등이 영남학파를 형성하였다 이이의 제자인 조헌, 김장생 등이 기호학파를 형성하였다 이런식으로 알고있는데 궁금한점이 생겼어요
1. 서경덕은 주(기)론 선구자 조식은 이기론 선구자로 노장사상(도가사상)에 포용적 이황은 주(리)론 선구자 이렇게 셋의 성리학적 중시포인트가 너무 다른데 동인은 무슨 이유로 이 학자들의 학문을 계승한건가요? 2. 동인은 이황, 서경덕, 조식의 학문을 계승하였고 김성일과 유성룡과 같은 이황의 제자들이 영남학파를 형성함 그러면 동인과 영남학파는 전혀 관계가 없는건가요? 또한 서인과 기호학파는 전혀 관계가 없는건가요? (동인-서인) (주리론-주기론) (영남학파-기호학파) 이렇게 3개가 연관은 있는것같은데 헷갈리고 정확하게 개념정립이 안돼요ㅜ
댓글/1000
답변 1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평민채택 02019-12-10 14:29
안녕하세요. 답변드릴께요. 먼저 붕당은 정파적 성격과 학파적 성격을 모두 포함합니다. 처음 동인은 기존의 척신 정치를 비판하는 "신진사림들"이 결합한 붕당이었습니다. 당시 서경덕, 조식, 이황의 학통을 계승한 사람들은 (모두) 신진 사림에 포함되었습니다. - 이것을 붕당의 "정파적 성격"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한편 서경덕, 조식 학파 / 이황 학파는 학문적 지향과 현실 인식이 달랐기때문에 결국 북인(서경덕, 조식 학파)와 남인(이황 학파, 영남학파)으로 다시 갈리게 됩니다. - 이것은 학파적 성격으로 분류할 수 있겠죠. 따라서 개별 사항으로 구분하셔서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 참고로 이이의 주기론은 서경덕의 학문적 영향을 받았으나, 이이 나름의 학설 - 이와 기 모두 중요하다.(주기론)- 을 완성했던 사람입니다. 따라서 서경덕과 이이의 학문을 같다고 평가할 순 없습니다. 또한 이언적이 이를 강조했다는 것이지, 주리론을 주장한 것은 아니며, 조식도 학문의 실천성을 강조한 것이며 주기론을 주장한 것은 아닙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주리론은 이황부터 시작, 주기론은 이이부터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