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민 신량역천 질문
2023.08.27 비공개 조회 166

한국사 조선시대를 공부하고 있는데


`신량역천`은 상민과 계급이 같나요?




(조선의 신분 구조: 양반 - 중인 - 상민 - 천민)

댓글 /1000
답변 2개
해피바이러스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2172 2023-09-02 14:39
지식서포터즈 / 합격자

양인 신분이면서 천역에 종사하던 부류.


고려시대 이래 봉수간(烽燧干)·염간(鹽干)·진척(津尺)·화척(禾尺)·양수척(楊水尺) 등 칭간·칭척자를 신량역천이라 하였다.

이들의 신분은 양인이었지만 누구나 기피하는 고된 역에 종사하였다.

그러므로 양인과 천인의 중간 계층으로 취급되어 이와 같이 호칭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양인을 사회의 기층으로 삼으려는 조선왕조에 들어 이들을 섭육십(攝六十)·보충군(補充軍) 등

특수한 직임에 충당시키고 일정기간 복무를 마친 자에 대해 종량(從良)시켰다.

한편, 조선왕조가 개창된 뒤 사회 문제로 등장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양천의 분간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래 양인 신분이었던 자가 고려 말 사회적 혼란기에 압량(壓良)·투속(投屬) 등의 방법으로 천인이 된 자가 많았다.

그러나 1361년 (공민왕 10) 홍건적의 개경 점령 때 호적이 산실되어 이들에 대한 본래 신분을 판별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리하여 국가는 양천 신분이 분명하지 않을 때 양인 신분을 인정하면서 그들을 특수한 직임에 충당시켰는데

사재감수군(司宰監水軍)이 그 대표적 예이다.

그런데 이들이 맡은 직임이 몹시 고되었으므로 천시되었고

이후 수군은 마침내 신량역천이라는 한 계층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상민과 같다고 보긴 힘들 것 같습니다.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593 2023-08-28 22:32
지식서포터즈

신량역천

신분은 양인인데 역할은 천민이 하는일을 담당한다는 뜻인데요. 계급적으로 상민과 완전 같다고 보기보다는 조선시대에 나름 비슷한위치에서 생활하지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정확한 답변은 에듀윌 한국사교수님이 잘 아실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