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지문들이 너무 추상적이여서 해석이 너무 난해해요..
2022.12.16 비공개 조회 1,056 내공 100

차라리 어떠한 대상에 관한 설명이면 갈피가 잡히는데... 무슨 모형의 함의가 어떻고, 가치와 선호가 어떻고 해석을 볼수록 한국어로도 이해하기 어려운데 대체 어떻게 1,2분 안에 풀어야할지 막막하네요...

기출은 최대한 꼼꼼히 분석하면서 풀어야되니까 그나마 스트레스가 덜한데 문풀하기 시작하면 과연 풀 수 있을까 싶어요

보통 실전 문제 풀 땐 어느정도 이해하면서 풀면 될까요?ㅠㅠ

추상적인 지문은 적당히 지표 찾아서 찍는 수밖에 없을까요?

문단 순서 배열같은건 풀때마다 틀리니까 자신감이 뚝뚝 떨어져요

댓글 /1000
답변 12개
Parfait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5265 2022-12-17 19:30
지식서포터즈 / 합격자

영어 독해는 이해보다는 순발력쪽을 더 요구하는 것 같습니다.

어떤 지문이든 수험생 입장에서는 처음 볼 수밖에 없는데,

이 때 그동안 독해를 어떻게 연습해왔는지에 따라 빛을 볼 수도, 아닐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문장이든 간에 간결한 문장은 그냥 읽으면 되고,

복잡한 문장은 의미 단위로 끊어서 읽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그래야 지문을 읽어가면서 잠깐 문맥을 놓쳤을 때 빠르게 다시 읽던 위치까지 의미 파악이 가능할 거에요.


그리고 이 정도의 기본을 갖췄다면 그 다음은 독해 유형별로 접근 방법을 숙지하고,

해당 유형에 대해 알맞은 접근법을 시도하는 거죠.

그래서 독해를 할 때 또 하나는 유형별 파악에 더해 선택지부터 숙지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유형별 접근 방법을 알았다면 그 다음 문제의 핵심이 되는 키워드를 찾아서 푸는 거죠.


추상적인 지문도 일단 모든 문장을 해석한 다음에 의미를 끼워맞춰가야 하는 것 같습니다.

서울시 기출 중에 아마 14~16년도 문제 중에 그런 유형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옥여사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54 2022-12-21 08:24
합격자

성정혜 교수님 커리 추천드립니다. 문풀시 추상적인 지문. 배열. 삽입. 삭제 관련 문제를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십니다.

익명의 편암함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648 2022-12-18 22:01
지식서포터즈

맞죠..맞죠..진짜 웃겨요.

샤인머스켓님의 답변입니다.
초인 채택 235 2022-12-18 11:26

ㅜㅜ자신감을 잃지마시길 바랍니다,


용기를 가지셔야 뭐든 할맛납니다. 영어가 골칫덩어리지만

나름 즐기시면 나아질거에요

영앤리치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1656 2022-12-18 09:55

ㅇ특히 독해같은게 더 그런것같아서ㅈ스트레스받더라고요


딱 해석이 똑부러지게되면 좋을텐데 그게아니고

추상적이라서ㅈ복잡합니다

Judy님의 답변입니다.
초인 채택 278 2022-12-17 15:17
합격자

맞아요ㅠ ㅠ

독해 문제풀다보면 기출이 휠씬 쉬울때도 있고요..!


하지만 시험 난도가 어떻게 어려워질지 지문길이가 길어지면 시간 조절도 해야하니 시험 준비할때는 어려운 지문을 풀어보기도 하고 긴 지문 풀기도 하고 다양하게 연습해 두는게 도움이 되더라구요 ㅎㅎ


사실 시험때 어떻게 풀었는지 정신없었어서

잘 기억은 안나지만 내가 확신 갖고 풀었다기보다

최대한 정답에 가까운 것, 최대한 아닌거 골라내면서 풀었고 지문이 전체다 이해된 것도 있지만 아니더라도 문제는 풀 수 있고 심지어 2~3문제 이해안되고 어려워도 남들한테도 어려울 것이고 일단 별표치고

나중에 다시 차분히 문제 들여다보면 답이 보이더라구요 ^^


추상적인 지문은 말씀하신것처럼 적당히 지표찾고

내용의 포인트나 아는 단어 활용해서 유추도 해보는게 최선일 듯싶습니다 ㅠ ㅠ 누구도 완벽히 독해 하기는 어려우니까요..!!


문단 순서나 배열을 앞문장과 끝문장 이어지는 접솝사 부분에 집중해서 풀어보시면 좋습니다.

많이 풀어보는게 도움이 됩니다 :)

저도 순서나 배열문제 약했는데 올해 시험에서 하나도 안 틀렸어요 ~~

해피바이러스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2172 2022-12-17 14:32
지식서포터즈 / 합격자

국어로 이해하기 힘든 문제를

영어로 낸다면 더 힘들겠지만

그래도 많은 연습으로 훈련하시면 좋겠어요.

오늘도 님의 꿈을 위해서 화이팅 하세요.

꺄르르륵님의 답변입니다.
초인 채택 7 2022-12-17 11:02
합격자

우선 문단순서 배열이 계속 틀리는 이유가 단순이 해석이 안되서 그러는건지 어느정도 해석은 되지만 왜 그렇게 배열을 해야하는지 감이 안오시는건지 확인해보셔야할꺼같아요.

해석의 문제라면 계속 공부하며 점점 나아질꺼고, 이것도 되는것 같고 저것도 되는것 같고 해서 틀린다면 국어 배열문제 또는 한국어 해석본으로 읽으며 왜 그렇게 배열하는게 답인지 병행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아무래도 사람마다 생각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기때문에 왜 이렇게 배열했는지 확인하고 넘어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추상적인 지문은 사실 많이 어렵죠. 다행히도 내가 아는 내용이 나온다면 편안할 것이고 처음보는 내용이면 한글로 읽어도 이해가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내가 사전지식을 쌓고있다고 생각해보세요. 그 영어지문과 비슷한 내용으로 국어로 나올수도 있고, 국어에서 풀어봤던 소재가 영어로 나오기도 하니까요.



edomn님의 답변입니다.
초인 채택 69 2022-12-17 01:03
합격자

저도 문장배열에서 유난히 틀리더라구요. 그래서 배열 문제만 주구장창 풀었어요. 하도 풀어서 시험때는 결국 배열문제 틀리지는 않더군요. 원래 독해의 삽입/삭제/배열 줄여서 삽삭배중에서 배열이 가장 난해한 편이랍니다. 많이 풀어보시길 추천드려요. 독해는 시간이 촉박해서 사지선다 지문 먼저 읽고 해당 지문 나중에 풀도록 강사님이 추천하더라구요 완벽히 독해하는건 힘드니 요령껏 이해하고 문제푸세요. 그리 어렵게 나오진 않을겁니다

리_페이스님의 답변입니다.
중수 채택 32 2022-12-17 00:13
합격자

국어 비문학 독해와 병행하시는 건 어떠신가요?

아니면 비문학 독해를 통해 추상 지문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서 먼저 신속하고 정확하게 문제를 푸는 스킬을 높이고

그 후에 영어 독해와 같이 병행하시면 그래도 조금이나마

독해 이해력이 향상되지 않을까 싶어요 !

그리고 차근차근 시간을 줄여나가보세요

숙련공도 처음엔 버벅거렸던 시간이 있듯이 쓰니님도 아직 손에 익지 않아서 그래요 당연히 버거울 만하죠

어쨌든 답은 반복적으로 문제를 풀어보며 조금씩 시간을 단축시키는 겁니다 ! 최대한 꼼꼼히 분석하시면서 어제보단 오늘이 몇 초 더 빠른 풀이를 하시길 응원드립니다 !!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3666 2022-12-16 22:36
지식서포터즈

그렇다고 하시더라구요


책 전체를 주제로 내는게 아니고

어떤 부분을 발췌해서 출제를 하니까 앞뒤 문맥도 안맞고 너무 힘든 주제들 뿐이라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많이 연습을 해봐야 알수 있다고 하시더라구요.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하수 채택 4 2022-12-16 22:26

음 국어비문학이라면 모를까 영어독해는 개인적으로 지문에 대해 백퍼센트 이해를 요구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해요

지문을 이해하고 문제를 푼다기보다

우리는 그냥 문단 배열하거나

빈칸을 채우거나 알맞은 문장을 넣는다거나

그 문장의 주제를 찾고 일치 불일치하는 문장을 골라내거나

이러기만 하면 됩니다

이해하려고 하지마세요

그냥 아 이글은 이 주제에 대해 얘기하고있네

Them? 그러면 앞에 먼저 언급된 명사가 있겠네

그걸 찾아서 연결하면 아 비다음에 씨겠네


이런 식으로 문제를 풀어야합니다

순서문제일경우 소재 파악 ㅡ 접속사나 대명사로 흐름찾기


빈칸문제일경우 빈칸 먼저 읽기 ㅡ 첫문장 보고 대충 주제 파악하기ㅡ 흐름상 어울리는 빈칸 찾기


삽입이나 삭제같은 경우도

첫문장 먼저 읽기 ㅡ 어울리지않는 문장 찾기


솔직히 지문이 무슨 얘긴지모르는데 저런 식으로 풀고 심지어 맞았는데 해석할때 되서야 아 이게 이런 지문이었어?

이해되는 경우도 있어욬ㅋㅋ..


독해지문은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가 아니에요

스킬을 가르쳐주시는 선생님 강의를 한번 들어보시는것도 방법인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문법 젬병 but 독해는 거의 맞는 편인데

지문을 백퍼센트 이해하고 맞게 찾았나?

하면 그건 아니었어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