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통일신라 발해 질문 2개
2022.12.06 비공개 조회 278 내공 20

1 통일신라의 통체 체제는 중앙 행정 집사부 포함 14관부로 구성되어있다고 공부했는데

13개의 관부가 병렬적으로 독립되어 있었으며 각 부의 장관은 여러 명인 경우가 많았다라는 지문이 나왔는데 이 선지가 정답인데 왜 정답인가요?

집사부 포함 14관부면 14 관부가 돼야 정답 아닌가요,,,?


2 발해 무왕의 국서 ‘고려 국왕 고구려 후손 자처’

발해 문왕의 국서 ‘고려 국왕 대흠무 천손’ 이렇게 알고 있어요.

근데 문제 사료에 고려 국왕 문안 인사 천손이라는 칭호가 나오면 문왕인가요?

고려 국왕이라는 칭호가 무왕 때도 쓰이고 문왕 때도 쓰인건가요?

댓글 /1000
답변 4개
Parfait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5265 2022-12-07 20:24
지식서포터즈 / 합격자

1.해당 선택지에서 키워드는 아마 ‘병렬적’인 것 같습니다.


통일신라의 관부는 집사부 포함 14개가 맞습니다.

그런데 집사부는 왕명에 따라 행정을 분장하는 여러 관부를 거느린다고 합니다.

즉 집사부는 통일신라의 관부는 맞지만,

13개의 관부들이 서로 동등한 위치에 있는 것과 달리 더 높은 위치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13개의 관부가 병렬적으로 독립되어 있다는 맞는 설명이 됩니다.

집사부를 뺀 나머지 13개 관부들은 집사부 밑에서 동등한 위치에 있으면서 행정 분장을 관장했으니까요.


2.고려 국왕은 문왕, 무왕 둘 중 하나를 꼭 집어서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일본이 일본서기에서 발해 왕을 그렇게 부른 것입니다.

즉 일본은 그냥 발해 왕을 고려 국왕이라고 지칭한 거죠.

봄날의햇살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660 2022-12-08 09:02

발해파트의 왕은 좀 어려운것같아요 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초수 채택 104 2022-12-07 11:07

1ㅡ좌이방부 우이방부 합치면(둘다 형벌업무로 담당하는 업무가 같음)

집사부까지 합쳐서 13부가 된다는 설명들었던것같아요



합격기릿님의 답변입니다.
초인 채택 42 2022-12-07 09:37

1번은 저도 의문인더 학습질문 남겨보시고요.

2. 고려 국왕은 발해가 고려랑 연관 잏어서 그런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