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선 사전에는 `다행하다`가 나와있습니다.
다행하다. [多幸+하다]
다행이다는 명사 `다행`에 조사 `-이다`가 결합하여 서술격으로 사용된 것입니다.
따라서 `다행히`는 `-하다`가 붙는 어근(다행하다) 뒤에는 `히`가 붙어 부사가 줄여진 형태 {51항 2번 ㄴ}입니다.
다행이는 다행하다라는 형용사보다 다행이네, 다행이다, 다행이야 처럼 서술어로 많이 사용하면서 잘못 줄여진 것으로보입니다.
* `다행이`()라는 `다행히`의 엣말.
다행히가 더 자연스러운 것 같은데..
헷갈리네요 역시 ㅠ ㅠ
기출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다행히, 다행히도 둘 다 문법에 맞습니다.
우선 ‘다행히’는 사전에 있는 단어로 품사는 부사입니다.
그 다음 ‘다행히도’입니다.
‘다행히도‘는 국어사전에 등재된 한 단어는 아니고,
부사 ’다행히‘ + 조사 ‘~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통 국어 문법을 처음 배울 때 조사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등)에 결합하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일부 조사는 부사와 같은 품사에도 결합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가 맞습니다.
이/히 와 관련된 51항 2번 에 해당하는게 맞고요
다행이다와 헷갈리는건
다행이라는 명상에 이다 라는 서술격 조사가 붙은 단어 입니다.
그러나 다행히 는 다행이라는 명사에 -히 라는 접미사가 붙어 부사가 된 단어 입니다.
그렇기에 다행히 가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