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예정자에요. 남자라 군호봉을 인정받아 2,3호봉으로 시작하는 걸로 알고있는데요. 주변 말 들어보니 2년치 기여금을 내야 2,3호봉으로 인정된 월급을 받을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사실인가요? 만약 2년치 기여금을 안내면 1호봉 월급으로 받는건가요?
이와 같은 유사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먼저 내고 나중에 더 많이 받아요.
오늘도 님의 꿈을 위해서 화이팅 하세요.
2년 정도면 나눠서 내면 될 듯합니다
아무래도 군호봉 인정 받는 것이 그래도 좋으니까요!
군필이라면 호봉은 임용일자에 이미 3호봉으로 책정되어있습니다. 기여금 2년치를 내는건 소급기여금을 말하는건데, 그걸 내면 그만큼의 재직기간을 인정받기 때문에 퇴직후 연금액과 연금수령기간이 더 늘어나는 것이죠. 그리고 아예 안 내면 그만큼 재직기간도 인정이 안되구요. 분할납부를 하든 일시납부를 하든, 어쨌든 내는 순간부터 재직기간이 전부 인정됩니다.
재직기간에 따라 연가일수도 다르기 때문에
기여금을 내는게 여러모로 유리합니다.
저는 소급기여금 일시불로 완납했습니다.
소급기여금에 관한 내용이군요.
월급(기본급)은 소급기여금을 내지 않아도 2, 3호봉으로 인정되어 지급됩니다.
소급기여금이 관련된건 정근수당과 같은 일부 수당에 관련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무원 연금공단 또는
글쓴이님의 임용 지역의 연금 담당자에게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소급기여금을 내는게 유리할지, 안 내는게 유리할지는
현직 사이에서도 의견이 다소 갈리는 부분이라서
글쓴이님께서 직접 담당자와 이야기해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