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체념적 달관적 초월적
2022.02.27 q89**** 조회 5,249

특히 시에서 화자의 태도를 물어볼 경우에 체념적 태도, 달관적 태도 , 초월적 태도 이3가지를 같은 느낌으로 접근하면 되나요? 다른 차이가 있나요?

댓글 /1000
답변 1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영웅 채택 319 2022-04-06 14:02
합격자

체념적

품었던 생각이나 기대, 희망 따위를 아주 버리고 더이상 기대하지 않는 것.


달관적

세상의 근심이나 걱정, 사소한 사물이나 일에 얽매이지 않고 세속에서 벗어난 초월적인 자세

초월적

어떠한 한계나 표준, 이해나 자연 따위를 뛰어넘거나 경험과 인식의 범위를 벗어나는.

이외에도 반성적, 예찬적, 비판적 등이 있습니다.

"더우면 곳 퓌고 치우면 닙 디거날, 

솔아, 너는 얻디 눈서리를 모르느냐. 

구천(九泉)에 불휘 고단 줄을 글로 하야 아노라."

  - 윤선도, ‘오우가’ 

--->외적인 시련에도 변함없는 소나무의 지조를 예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