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번에 선지 4번이 이해가 안 갑니다.
문학의 미적 자질과 영화 `일 포스티노`의 미적 자질 사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라고 하는데 미적 자질이 도대체 무슨 말인가요?
기출분석강의에서도 설명을 안 해주고 구글 검색해도 안 나와서 질문합니다.
이 글에서
문학=시, 미적 자질=미적 특성
> 시의 미적 특성=은유
인 것까지는 유추해 보겠는데 영화 `일 포스티노`의 미적 자질은 도대체... 뭔가요....?
이 문제는 사고와 센스에 관한 문제네요.
매우 어렵게 접근하시는 것 같은데,
미적 자질을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이 글은 수학공식처럼 분석하는 글이 아닙니다. 그냥 읽고 바로 답을 추론하면 되는 문제거든요.
우리가 어떤 훌륭한 예술인을 보고 미적 감각이 뛰어나다, 예술인으로서의 자질이 충분하다 등 이런 말을 하죠?
즉 자질이라는 건 특정 대상이 어떠한 성격을 띠기 위해 갖춰야 할 기본 소양과 요소 등을 말한다고 해석하면 될 겁니다.
그러니까 문학의 미적 자질은 뭘까요?
문학이 작품으로서의 심미적 성격을 갖추기 위한 요소라고 볼 수 있고, 그것이 시에서는 은유라는 것이죠.
그런데 지문을 읽어보면 일 포스티노에서 시의 본질과 문학의 은유가 잔뜩 들어있다고 하죠.
그렇다면 일 포스티노가 예술작품으로서 심미적 아름다움을 인정받는 요소, 즉 미적 자질이 바로 이것들이라는 것이고,
여기서 문학과 일 포스티노의 공통점이 있다고 그냥 납득하면 끝나는 문제입니다.
이해의 영역이지 분석의 영역이 아닙니다.
미적 자질에 대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만큼 너무 당연한 내용이고 쉬운 문제입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열공하세요 :)
이런게 나왔나요? 저는 일포스티노 만큼 은유를 잘표현한 영화는 없다라고 들었습니다.
이 영화는 은유자체라고 들어서 미적 자질이라는 말은 생각이 안나네요.만약 은유를 알고 싶거든 이영화를 봐라 고 하시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