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 57항 알음, 앎
2021.12.12 비공개 조회 632 내공 300

어간 `알` + 명사형 전성어미 `ㅁ` > `앎`

이건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강의에서 교수님이

어간 `알` + 명사 파생접미사일 때,

`알음`은 보편적으로 잘 만들어졌는데

`앎`은 특이한 케이스라고 하시더라구요.


명사 파생접미사 `ㅁ`이 붙는 조건, `음`이 붙는 조건이 따로 있는 건가요?

혼자 추측하기로는 `ㅁ`은 어근에 받침이 없을 때, `음`은 있을 때 같기는 한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댓글 /1000
답변 1개
KnightKei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1578 2021-12-12 18:43
합격자 / 월간 Top10

`-음` 이 붙는 것이 공시적 현상이고,

`-ㅁ`이 붙는 것이 통시적 현상입니다.


그리고 이것에 대해선 학자마다 견해 차이가 너무 커요.

국립국어원도 명확하게 답변을 못 해서 단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대로

`어근에 받침이 없거나 혹은 어근 받침이 ㄹ받침일 때` 매개모음(으)가 사라져서 `ㅁ`만 붙는다고 설명하긴 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 매개모음 탈락 현상은 접미사가 아니라 어미와의 결합, 즉 활용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도 접미사에도 이것을 적용한 것이죠.


그러다보니 이견이 많기도 한데,

`알음`과 `앎` 자체가 서로 다른 뜻으로 오랫동안 쓰여져 온 터라

각각의 단어로 등재하며 `앎`을 통시적 현상으로 구분해 두었을 뿐입니다.


`삶` 역시 통시적 현상인 단어죠.


출제영역은 아닙니다. 이게 출제되면 그건 엄청난 논란이 있는 그런 문제죠.

알음과 앎이 서로 다른 단어이며 여기에 붙어있는 것이 전부 명.파.접 이라는 것 정도만 알고 넘어가시면

공무원수험용으론 딱 적합한 정도입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열공하세요 :)

  • 질문등록자 2021.12.14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