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규칙 활용이라는 말을 잘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왜 불규칙 활용일까요? 규칙을 가지고 활용이 되는 것들과 달리 불규칙하게 활용이 된다는 말입니다. 즉, 예외라는 거죠. 그래서 이런 불규칙 활용을 공부하실 때에는 그냥 거기에 있는 단어들을 외우시는 게 빠릅니다! 그리고 모국어 화자다 보니까 어느 정도는 이미 알고 계실 거예요. 평소 본인 발음과 교재에 있는 불규칙 활용을 비교해 보시고 다른 것들을 위주로 외우시면 됩니다!
두 단어의 의미가 다르니까 그런거같아요
`이르다` 라는 단어를 보면
`도달하다`의 의미로 쓰면 `이르러`로 러 불규칙활용인데 `말해주다`의 의미로쓰면 `일러서`로 르 불규칙활용되니까요
이해보다 암기를 먼저 하는게 문제 푸는데는 동무이 된다고 하시더라구요.
음...오히려 규칙이 기준이라서 불규칙이 예외라고
할수있지만
그냥 이렇게 하는것보다
규칙vs불규칙
이렇게 구분하는게 좋아요:)
활용에는 규칙활용이 있고 불규칙활용이 있습니다!
뭐가 예외인지보다는 그냥 걸어서는 불규칙이구나
걷어서는 규칙이구나 !
이렇게만 아시면 됩니다!
동음이의어가 있어서 모든 게 ㄷ 불규칙은 아니기 떄문에 구분 지어야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이면 평소 쓰던 습관이 있어서 거의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으니까
ㄷ불규칙도 있고 규칙도 있다는 걸 깨닫기만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굽다 도 마찬가지죠
빵을 굽다 -> 빵을 구워서 (불규칙)
등이 굽다 -> 등이 굽어서 (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