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 that은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관계사절 앞에 선행사가 존재하는 거구요,
관계대명사 what은 what 자체가 선행사를 품고 있기 때문에 관계사절 앞에 별도로 선행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what은 자기가 선행사 역할을 하고 있는 거에요
그래서 불완전한 문장 앞에 선행사가 있으면 관계대명사 that
불완전한 문장 앞에 선행사가 없으면 관계대명사 what을 쓰는겁니다!
선행사는 말 그대로 앞에 위치하는 명사기 때문에 문장 뒤에 위치하는 게 아닙니다...
예시 들어드릴게요!
The internet /is/ a tool /[that /makes/ life/ easier.]
인터넷은/도구이다/삶을 더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보시면 앞에 a tool 도구라는 선행사(명사)가 존재해요! 이럴 때는 관계대명사 that을 쓰는 게 맞구요,
그리고 여기서 makes 의 주체가 없기 때문에 불완전한 문장이구요
that은 주격관계사가 됩니다.
The intert/ is/[what makes life easier.]
인터넷은/이다/삶을 더 편리하게 만드는 것
얘는 말 그대로 what 앞에 선행사(명사)가 없네요? 그래서 이럴 때는 관계대명사 what을 쓰시면 됩니다.
여기도 마찬가지로 makes의 주체가 없기 때문에 불완전한 문장이구요 what은 주격관계사가 됩니다.
선행사라고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앞의 명사 유무로 생각하시면 더 쉬우실 거에요.
뭐 선행사가 포함되냐 아니냐 이런 거 하나도 안 중요해요!! 해석 꼭 하시고, 앞에 명사 확인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불완전한 문장 뒤의 선행사 유무를 보는게 아니라,
1.관계대명사 뒤의 문장이 불완전한지 유무
2.선행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지 유무
이걸 보셔야 합니다.
what은 the thing which 와 같은 말이에요. 여기서 the thing이 선행사거든요.
그래서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인거고, that은 선행사가 포함되지 않는 관계대명사인 것이죠.
그리고 불완전한지 완전한지에 따라 중간에 쓰인 that/what의 역할이 바뀝니다.
완전하더라도 앞의 관계대명사에 전치사가 붙어있다면 그건 관계대명사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죠.
(다만, 전치사가 함께 붙을 수 있는 관계대명사는 which이지 that이 아닙니다)
그리고 완전한데 앞에 전치사도 없다면 그땐 관계대명사가 아닙니다.
that은 동격이거나 접속사역할을 하며, what이라면 의문부사 등의 역할을 하겠죠.
네 앞에 선행사가있으면 무조건 뒤에 that을 쓰면됩니다. 하지만 선행사가 없으면 관계사뒤에 불완전한지 완전한지를 보고 불완전하면 what 완전하면 that을 쓰면되지만 여기서 that은 관계대명사가아니라 접속사나 동격의 that입니다.
오늘도 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