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질문드립니다.
2021.09.02 비공개 조회 1,737 내공 100
농지법상 이행강제금에서 “농지법상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은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 아니다.”라는 판례를 농지법에 근거한 이행강제금 부과처분은 행정소송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처분이 아니다라고 배웠는데요, 이게 저는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처분성이 없기 때문에 행정소송을 할 수 없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행정소송을 대체 할 수 있는 과태료 재판이 있기 때문에 행정 소송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지 처분은 맞는 것이 아닌가요?ㅠㅠ 판례를 보아도 저렇게 설명하던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댓글 /1000
답변 2개
ariari님의 답변입니다.
영웅 채택 151 2021-09-02 19:46
지식서포터즈 / 합격자

이행강제금 자체는 처분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별법에서 해당 이행강제금을 특정한 방법으로 다투도록 규정하고 있는 경우

처분이되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는 처분이 아닌게 되는 것이죠


`처분`의 개념 자체를 행정청이 특정인에게 의무를 부과하는 공법상의 권력적 행위라고 정의한다면

농지법상 이행강제금도 처분에 해당하지만 비송사건으로 `소송` 이외의 방법을오 다퉈야 하기 때문에

처분이되 통상적인 처분이 아닌 것이 되는 것이죠

비슷한 카테고리로는 통고처분, 질서행위규제법상의 과태료 등이 있습니다 .

처분이긴 하지만 각각 즉결심판, 과태료 재판등으로 시시비비를 가릴 수 있을 뿐

항고소송으로 다툴 수 없기 때문에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 아닌 것이죠


솔직히 농지법 + 이행강제금 + 항고소송으로 문제가 기출되면

농지법상 이행강제금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다 o x 식으로 나오기 때문에

그냥 건축법상 이행강제금은 항고소송 o 하지만 농지법상 이행강제금은 항고소송 x 정도로만 외우시면 끝입니다




KnightKei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1578 2021-09-02 20:17
합격자

쉽게 말해서 항고소송으로 다툴 수 있으면 처분이고, 다투지 못 하면 처분이 아닙니다.


이행강제금은 급부하명의 성격을 갖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개별법에 특별한 불복방법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 규정에 따라 비송사건절차를 밟습니다. 항고소송을 거는게 아니기 때문에 처분이 아니죠.


그러나 예외적으로 건축법상 이행강제금은 항고소송으로 다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법상 이행강제금부과는 처분이 됩니다.



그러니 공부하실때

건축법상 이행강제금=처분=항고소송o

그외의 이행강제금=처분x=항고소송x, 비송사건절차법o

으로 외우시기 바랍니다.

‘학습질문 > 행정법/학’ 분야 인기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