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년도에 일반행정 9급 국가직, 지방직 보려고 하는데 기본강의듣고 기출문제 꾸준히 풀면 어려움 없이 합격이 가능할까요?
경쟁률 낮은 지방쪽에 지원할 생각이구 1년 안에 꼭 합격하고 싶습니다 ㅠㅠ
수월한 합격을 위해서 장애인 전형에 효율적인 공부방법이 있을까 싶어 질문 드려봅니다...
1.국어나 영어 같은 경우는 장애전형일 경우 어떤식으로 공부해야할까요?
국어는 비문학 문제 3문제 정도 꾸준히 풀고 있구 국문법은 강의듣고 있습니다. 영어 또한 단어를 외우고 독해문제 풀고 있지만 베이스가 살짝 부족한지라 답을 고르는게 쉽지 않네요 ㅠㅠ
2.나머지 암기 과목들은 기출문제 꾸준히 풀어도 커버 가능할까요?(+기본강의, 기출문제분석강의)
한국사, 행정학, 행정법 보려고 합니다. 범위가 방대한만큼 꽉꽉 채워서 공부해야할까요?
3.각 과목당 맞아야 할 적당한 점수가 있을까요? 과락 40점 이상의 점수에 한해서 합격을 노릴수있을만한 점수정도가 궁금합니다.
4.그 외 장애전형 꿀팁 전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할것같습니다. ㅠㅠ
1.각 과목과 과목 안에 영역별 특성에 맞게 공부해야 합니다.
국어는 문법, 문학, 비문학, 어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어 어휘는 영단어와 달리 다른 영역 풀이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장애인 전형이라면 과감히 포기하셔도 되고,
아무것도 안 하기는 걱정된다면
사자성어를 중심으로 공부하세요.
문법은 지금처럼 강의를 듣고, 복습하시고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문제 풀이를 하면 됩니다.
비문학도 지금처럼 문제 풀이를 꾸준히 하시되
1~2문제 정도로도 충분할거라 생각합니다.
시간 제한없이 문제를 최대한 정확히 푸는 연습을 하시고
오답 체크를 꼼꼼히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문학도 비문학처럼 문제 풀이 위주로 공부를 하세요.
역시 1~2문제 정도만 꾸준히 풀면 좋을거 같습니다.
영어는 어휘, 문법, 독해로 구성됩니다.
영어 어휘는 매일 20~50개 정도를
능력 되는 만큼 공부하시고
영어 문법도 국어 문법이랑 마찬가지로
강의를 반복해서 들으면서 이해하시고,
문제 풀이를 할 때는 출제 포인트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가셔야 합니다.
독해 역시 1~2문제 정도로 매일 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비문학과 마찬가지로 시간제한보단 정확한 독해에 초점을 맞추는게 어떨까 합니다.
2.기출 문제가 매우 중요한 부분인건 맞지만
암기 과목들은 기출 문제에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기출 문제로는 50점까지도 충분히 가능하겠지만
뒤에 말씀드릴 장애인 합격선을 고려하면
50점은 좀 부족합니다.
기본 이론에 대한 공부가 어느정도 되어있어야
합격까지 무난한 점수가 나옵니다.
https://govlab.eduwill.net/schedule/pds/07/39690
3.2020년 서울시 장애인전형 합격선은
대충 5과목 평균 55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과락 기준이 40점이니
합격선은 과락 기준보다 한참 높죠.
서울시가 의외로 장애인 전형 합격선이 낮았던거라
다른 지역도 평균 50점대는 나와야 합격 가능성이 있을거에요.
그렇다면 평균 60점까지 생각하고 공부를 하셔야 할 거 같습니다.
아마 기본 이론 공부가 어느정도 진행이 되면
나중에 문제 풀이를 많이 하게 될거에요.
이 때 제가 말씀드린 점수가 안 나온다고 절대 좌절하지마시고
묵묵히 공부해나가야 합니다.
60점은 어디까지나 목표로 제시해드린 부분이고
실제 시험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저것보다 낮은 점수로도 합격을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4.글을 보니 이미 고려하고 계신 사항이겠지만
원서 접수시 지역 선택을 정말 잘 하셔야 합니다.
물론 원서 접수도 운빨을 타서
안 되는 경우는 어쩔 수 없긴 하지만
같은 점수라도 지역에 따라 합격/불합격이 갈리니까요.
저는요..합격자 공부법 따라 하다 결국 못따라가고 제방식 대로 하고 있습니다.
해보니 나름의 공부법은 스스로 만드는거더라고요..
그러니 일단 합격후기 한번 보시고 가이드 라인을 먼저 잡아 보는것도 방법이라면 방법 인거 같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