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식 비동기식
2019.11.20 비공개 조회 967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과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의 차이를 알고 싶어요
또한 일반적으로 동기식이라고 하고 비동기식이라고 하면 어떤차이가 있는지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댓글 /1000
답변 1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평민 채택 0 2019-11-20 14:26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동기식은 무엇을 서로 맞추어 처리하는 것이고, 비동기식은 반대의 개념입니다.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말하며, 하나의 전송로 대역폭을 시간 슬롯(time slot)으로 나누어 채널에 할당함으로써 몇 개의 채널이 한 전송로의 시간을 분할하여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시간 슬롯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어떤 채널이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시간 슬롯으로 나누어 채널에 할당 시간폭은 배정되기 때문입니다.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Asynchronous TDM)은 통계적(statistical) 시분할 다중화 방식, 또는 지능형(intelligent) 다중화 방식이라고도 하며, 동기식처럼 무의미하게 시간 슬롯을 할당하지 않고 실제로 전송 요구가 있는 채널에만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시켜서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열공하세요. 언제나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