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합성어 질문이요 ㅠㅠ
2021.02.05 ekd****** 조회 1,534 내공 120
일단 저는 배영표 교수님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궁금한게 3가지 있는데요1. 비통사적 공식 (2)으로 용언+용언 = 비통사적 합성어라고 알려주셨는데, 여기서 주의할점은”밤낮”은 통사적 합성어라고 하셨거든요? 근데 애초에 밤+낮은 체언+체언이어서 이 공식과는 상관없지않나요?? 제가 잘못 필기한건지 어디서부터 잘못됐는지 모르겠어요 ㅜㅜ 결론: “밤낮”은 통사적/비통사적 합성어 중에서 무엇인가요?2. 비통사적 공식 (3)에서는 부사+체언= 비통사적 합성어라고 알려주셨는데, 여기 예시로 ‘헐떡고개, 촐랑새, 산들바람, 척척박사’를 알려주셨습니다. 근데 풀이과정을 안 알려주셔서 이해가 안가요. 저 단어들 풀이과정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3. 비통사적 공식(4)에서 등산, 독서= 비통사적 합성어이고,전진, 필승= 통사적 합성어라고 알려주셨는데,이것도 이해가 잘 안갑니다 ㅠㅠ 풀이과정 친절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1000
답변 1개
Parfait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5265 2021-02-05 20:19
지식서포터즈 / 합격자

1.‘밤낮’은 말씀하신 대로 체언+체언이라 통사적 합성어가 맞습니다.

기본서 91페이지를 보면 ‘밤낮’이 통사적 합성어로 나와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에요.


2.부사+체언은 따로 설명할 게 없어서 그렇습니다.

둘 다 불변어이고 어미가 관여하지 않아서 공식을 그대로 보면 됩니다.

헐떡(부사)+고개(체언), 촐랑(부사)+새(체언)... 이렇게 보면 되요.


3.한국어의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입니다.

다른 말로 ‘목술 구조’라고도 합니다.


등산 = 오를 등(서술어, 동사) + 뫼 산(목적어),

독서 = 읽을 독(서술어, 동사) + 책 책(목적어)로

두 단어는 서술어가 먼저, 목적어가 나중에 오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는 ‘술목 구조’라고 하며

한국어의 ‘목술 구조’와 다릅니다.


반면에

전진 = 앞 전(부사어) + 나아갈 진(서술어, 동사),

필승 = 반드시 필(부사어) + 이길 승(서술어, 동사)는

부사어 + 서술어 구조로써,

한국어는 부사(어)가 서술어를 수식할 때

서술어의 앞에 부사어가 위치하는데,

전진과 필승은 한국어의 문장 구조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한국어의 문장 구조와 일치하지 않는

독서, 등산은 비통사적 합성어이고,

한국어의 문장 구조와 일치하는

전진, 필승은 통사적 합성어입니다.

  • 질문등록자 2021.02.05
    parfait님을 기다렸습니다ㅠㅠ엉엉 항상 너무 감사합니다 사랑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