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억장치관리 (1)고정분할(정적분할) 2.배당된기억공간의 크기와 프로그램의 크기가 달라서 공간이남거나모자르는단편화현상이 발생한다. 여기서얘기하는 단편화현상이라함은 내부단편화와 외부단편화모두를 말하는건가요? 아니면, 내부단편화만 발생한다는건가요? (2)가변분할(동적분할)에는 외부단편화만 발생한다고 쓰여있는데..
댓글/1000
답변 1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평민채택 02019-11-28 11:07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두가지 모두를 말합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고정분할시 내부단편화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비율이 더 높다라고 하지만 고정된 하나의 정해진 크기로 분할하거나 혹은 다양한 사이즈로 고정되게 미리 분할을 해놓는 방법 두가지가 모두 가능하며 이때, 적재될 작업의 다양한 크기에따라서는 내부단편화 혹은 외부 단편화가 발생될수 있습니다.
한가지 참고로 말씀드릴것은, 고정분할의 경우 내부단편화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기 때문에 이것을 강조하는 문장들이 꾀나 많이 있습니다. 문제로 출제되어 나오는 경우 이점은 감안하시어 적절한 정답을 찾으시는데 참조를 해주세요. 다만, 외부 단편화가 절대로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는 점은 또한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2)그렇습니다. 가변분할은 외부단편화의 발생문제만 있습니다. 내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학습에 도움이 되실듯하여, 최종 정리를 해드려볼게요~ -내부단편화의 발생은 : 고정분할, 불연속적인 메모리 할당의 세그먼트 기법 사용시 발생함 -외부단편화의 발생은 : 고정분할, 가변분할, 불연속적인 메모리 할당의 페이징 기법 사용시 발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