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질문 끓는듯하다
2020.09.20 비공개 조회 3,638

끓듯하다 할 때 띄어쓰기 안하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끓는듯하다 할 때 띄어쓰기 안하는 것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알고 계신 분 알려주세요.

댓글 /1000
답변 4개
fee******님의 답변입니다.
하수 채택 0 2020-09-21 14:14

1.끓듯하다(X)

 -끓: 본용언의 어간 (어미는 없는 상태임)                                             

 듯하다: 듯(의존명사)+하다(보조용언)=듯하다(보조용언)

->본용언의 어간에 보조용언을 바로 결합할 수 없음. 본용언에 어간+어미 구조가 있어야 함 

   ex) 올 듯하다 -> 오(본용언의 어간)+ㄹ(관형사형 전성 어미)+듯하다(보조용언)

 따라서 끓(본용언의 어간)+는(관형사형 전성 어미)+듯하다(보조용언)=`끓는 듯하다` 로 사용

 이때, 듯하다는 앞 말에 붙여씀도 허용. 따라서 끓는 듯하다(ㅇ) 끓는듯하다(ㅇ)    참고) 올 듯하다(ㅇ) 올듯하다(ㅇ)


 2.끓는듯 하다(X)

 ->끓(본용언의 어간)+는(용언의 어미)+듯(용언의 어미)+하다(보조용언) 일때 선어말어미를 제외하고 어미는 1개만 존재하기 때문에 어미 중복으로 사용 불가함.


3.끓듯 하다(ㅇ)

->끓(본용언의 어간)+듯(용언의 어미)+하다(보조용언) 이므로 `끓듯 하다` 로 사용 가능   참고) 올듯 하다(X) ->어미 중복(ㄹ,듯)


4.결론: 끓는 듯하다(ㅇ) 끓는듯하다(ㅇ) 끓듯 하다(ㅇ)


탐쌤에게 배운 것을 바탕으로 적어봅니다~^^

이 글을 적으면서 저도 내용 정리할 기회가 되었네요.ㅎㅎ

혹시나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모두 잠 오는 오후도 잘 극복해봅시다!

화이팅^-^

Parfait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5265 2020-09-20 14:32
지식서포터즈 / 합격자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라 해당 문장은 띄어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씀을 허용하는 경우에 속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끓는 듯하다`가 원칙이고, `끓는듯하다`는 허용되는 경우인거 같습니다.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648 2020-09-20 09:32
지식서포터즈

다  조사라서  붙여 적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3666 2020-09-20 09:02
지식서포터즈

는 주격조사


듯하다 하다 싶다 는 무조건 붙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모두 조사기 때문에 붙이는거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