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언어의 역사성 중 즈믄(천), ...(강), 녀름짓다(농사짓다)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근데 지금은 녀름짓다라는 말은 쓰지 않지만 농사짓다라는 말은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의미는 같지만 기호만 변화한 것이니 언어의 성장 중 기호 변화와 같다고 볼 수도 있지 않나요? 이렇게 생각하니까 성장의 기호 변화와 사멸 구분이 헷갈려요ㅠㅠ 감사합니다.
댓글/1000
답변 1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평민채택 02019-11-27 01:04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어떤 기준으로 보느냐에 달린 것입니다. 즉, '글자 자체'만 보면 '사멸'입니다. '녀름짓다'라는 단어는 사라진 단어이니 사멸입니다. 그런데 '농사짓다의 어휘의 변천'으로 보면 '녀름짓다 - 농사짓다'로 변합니다. 즉 기호변화가 맞습니다. 문제를 출제하는 사람의 의도가 글자 자체에 있느냐? 아니면 어형변화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행인 것은 실제 시험에는 이러한 분류를 내지 않습니다. 기호가 바뀌었든, 글자가 없어졌던 모두 언어의 역사성으로 설명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