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직만 생각하고 있으시면 세무직만큼은 전공 과목으로 시험을 치르는 것이 좋습니다.
세무직 합격하고 나면 세법과 회계는 다 공부해야 되는 부분입니다.
지방직은 어느정도로 세법과 회계가 중요한지는 모르겠으나,
국가직 세무직은 연수원에서 단기간에 세법과 회계를 배우는데 발령에 있어서 연수원 성적이 중요합니다.
세회, 비세회 구분해서 관리할 정도입니다.
뿐만 아니라 국가직 세무직이라면 필수로 따야하는 내부 자격증 시험도 존재합니다.
(연수원과 내부자격증 부분은 따로 검색해보시면 잘 알 수 있을겁니다.)
합격 이후나 시험 시간적 문제를 생각하면 세법을 추천드리고 싶은데,
범위가 다르셔서 제외하셨으면 회계학 하시는 거 추천드립니다.
어차피 합격하시면 공시 회계학보다 더 깊게 회계 공부하셔야 하니까 길게 보시고 회계학 선택하세요.
세무직이면 세법하고 회계학이 좋긴하죠....
근데 일단 세무직 사회랑 행정법으로 들어가는게 막차니깐
미친듯이 해서 내년까지 합격하는게 제일 좋고...
떨어져도 행정학살려서 다른 직렬하시거나
세법, 회계학 어차피 배울거니깐...
두과목 처음이시라면 사회랑 행정학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시점에서 공부를 시작하신다면 가급적이면 고교과목은 피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2년부터 폐지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회계학을 선택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회계학을 선택하시는 분들 대부분이 노베이스입니다.
그리고 1년이면 정말 충분합니다!!
진짜에요.
그래서 사회나 수학도 엄청 베이스가 있는 건 아니니까!
회계학 선택하셔서 만일의 상황을 대비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ㅎㅎ
열심히 하셔서 꼭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