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에듀윌 모의고사 한국사 12번
2020.05.25 비공개 조회 1,372

향교의 특징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옳지 않은 것은?

1. 원칙적으로 모든 양인 남자에게 입학이 허용되었고 학비는 없었다.

2.모든 군현에 향교를 두기로 하고 군현의 규모에 따라 정원을 정하였다.

3.매년 자체적으로 정기시험을 치러 성적우수자에게는 성균관 입학자격이 주어졌다.

4.학업중 군역이 면제되었으나 성적미달로 자격이 박탈된 경우 군역을 지도록 하였다.


1.에서 는 향교는 학비가 있고 성균관은 학비가 없다고 배웠고

2.향교는 부목군현에 하나씩 설치해 모든 군현에 향교를 두기로 했다 라고 배웟습니다.

3.4부학당과 향교의 추천자는 성균관에 하재생으로 입학한다 라고 배웠구요.


근데 답은 3번이네요..

1번과 3번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3번은 기본서에 적혀있는 내용이고 1번은 인터넷에서 본 내용입니다.

댓글 /1000
답변 3개
공무원합격기원님의 답변입니다.
지존 채택 2 2020-05-26 13:39

3.매년 자체적으로 정기시험을 치러 성적우수자에게는 성균관 입학자격이 주어졌다. ->향교는 매년 두 번씩 시험을 치러 성적 우수자에게는 생전/진사 시험의 초시를 면제 해주 었다. 성균관의 입학 자격은 생전/진사 시험을 통해 입학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1. 원칙적으로 모든 양인 남자에게 입학이 허용되었고 학비는 없었다. ->향교는 양인 이상의 신분으로 준수한 재능을 가진 남자(8세 이상)라면 입학이 가능했으며, 학비는 없었다. 2.모든 군현에 향교를 두기로 하고 군현의 규모에 따라 정원을 정하였다. ->조선은 전국의 모든 군현에 향교를 설치했으며, 교생의 정원은 군현의 인구 비율로 정해졌다. 4.학업중 군역이 면제되었으나 성적미달로 자격이 박탈된 경우 군역을 지도록 하였다. ->향교에 입학한 교생은 학업 중 군역이 면제되었으나, 성적 미달인 낙강생이라하여 군역에 응해야 했다. 참고하세요~~ 화이팅 입니다. 삭제

  • 질문등록자 2020.05.26
    입학연령은 15세 이상의 남자였는데 50세 중년 입학생도 있었다고 한다. 진사시험에 합격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성균관의 학생이 될 수 있었으며 그외에도 4학이나 향교에서 ‘승보시’ 라고 하는 『소학』과『사서』시험을 거쳐 성균관에 입학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또, 아버지가 2품 이상인 고급관료의 자제들은 생원·진사시험에 합격하지 않아도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는 특권이 있었다.
  • 질문등록자 2020.05.26
    근데 그러면 상재생과 하재생은 뭔가요.. 상재생은 생원시와 진사시 즉 소과에 합격한 학생을 말하는데 하재생은 그 이외로 들어온 사람들이라고 해석하면 되나요? 책에는 4부학당이나 향교의 추천을 통해 입학한다 라고 적혀있는데 ..
kgi****님의 답변입니다.
영웅 채택 6 2020-05-26 13:24

3번이 정답인 이유


성균관입학자격은 성균관에 결원있을 때만 가능하기 때문에 당연하게 주어진다고 하면 틀리다고 배운거같아영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향교는 국립으로 학비는 당연히 없다고 나오네영

  • 질문등록자 2020.05.26
    아 그렇게 해석하면 말이 되겠네요. 성균관의 결원이 있을때만 가능하니까 늘상 뽑는건 아니겠네요
gig***님의 답변입니다.
영웅 채택 10 2020-05-26 12:07

향교 성적우수자는 소과(초시+복시)의 초시면제입니다

소과를 합격해야 성균관입학 자격과 대과응시자격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1번에 학비는 책에 없어 인터넷 찾아보니 학비를 냈다는 말은 없고 나라에서 비용을 부담하였고 그것이 충분치는 않았을 것이다라는 내용이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