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밍효과란 무엇인가요?
우유에서 위에 거품 즉, 크림부분만 빼내어 사용한다는 데에서 유래했는데요. 어떤 실험에서 좋은 효과가 나온 대상만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해 내는 거죠. 외적타당성(일반화의 가능성)의 저해요인 중 하나입니다.
거품 효과 같은건가요?
뭔가를 실험 할때 효과가 높게 나올것같은 인자만 골라서 실행하는거예요.
일반화가 매우 힘들어요
실험시 효과가 높게 나올것같은 사람만 골라서 실행하는것입니다...
이런 현상때문에 일반화가 매우 힘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