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음화에서 ㄷ,ㅌ + ㅣ = ㅈ,ㅊ 라는 개념수업에서 예시로
밭이랑 이라는 단어가 나왔습니다.
밭이랑에서 `이랑`이 명사일때 [받이랑]-[반니랑]으로 된다하셨는데 [반니랑]으로 어떤 원칙으로 변하게 된건가요??
합성어, 파생어 또는 그에 준하는 단어들에서
앞 말에 받침이 있고 뒷말에 바로 [이, 여, 요, 야, 유]가 오게되면
니은이 첨가되어 [니, 녀, 뇨, 냐, 뉴]로 발음됩니다.
`이랑`이 조사일 경우,
`밭이랑`은 합성어나 파생어가 아닌 별개의 단어이므로,
니은이 첨가되지 않지만,
`이랑`이 체언(명사)인 경우,
밭이랑은 합성어가 되어 `이`에 니은이 첨가됩니다.
따라서, [받이랑->받니랑->반니랑]으로 변하게 됩니다.
아..이때 `ㄴ첨가 ` 가 되는 거였군요..
저도 이게 되게 이상하다고 혼자 생각하고 있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