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경제를 학습하다가 지원보초라는 단어를 봤는데요. 이것은 무엇인가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고려 후기(원 간섭기,충렬왕)에 유입되어 통용된 원나라의 지폐인데요~
원나라의 세조가 지폐전용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중통보초`와 함께 찍어 유통시킨 지폐입니다.
공적으로나 사적으로 통용되었으며 고려의 대원교섭에 소요되는 경비로도 사용되었습니다!
고려시대 화폐는 많이 많이 변하는데요
변천 과정을 보면
건원중보(성종15년 996-최초의 화폐 ,동전,철전)--->동국통보,동국중보(당나라화폐모방):목종998년? 숙종동전이라는 말도 있음
--->주전도감(숙종1097 의천의 주장으로 만든 화폐주조 관청)
-->활구(1101-숙종 ,은병)-->해동통보(1102년),삼한통보(숙종7년),삼한중보(숙종8년?),해동통보,해동 중보(숙종8년),등이 거의 같은 시기에 만들어 지고
-->쇄은(충렬왕13년-1287년)-->지원보초(원나라 세조가 지폐전용책을 추진하기 위해 고려에 유통시켜 교역등에 이용하게 하는 화폐로 사용함)
중통보초도 같은 맥락으로 이용됨 -->소은병(1331년 충혜왕3년)--->저화(1391년공양왕 3년--발행 사용 되지는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