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왕의 업적
2019.11.22 비공개 조회 913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성왕의 업적을 시기순에 나누면서 일본에 불교 전파 후 한강 하류를 수복하였다고 공부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공부 중 단양 적성비가 세워진 후 일본에 불교가 전래되었다고 하여 헷갈려졌습니다.
성왕과 진흥왕이 함께 한강을 수복한 것이니 순서가 반대로 되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 사건의 순서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000
답변 3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3666 2020-11-22 12:42
지식서포터즈

한국사는 흐름이중요 한데 여기서 또하나 생각해보면 성왕의 죽음 입니다.


관상성 전투에서 죽기전에 일본에 불료를 전파 시키고 관산성전투로 죽게 됩니다.



그래서 신라와 연합으로 한강유역 차지 단양 적성비 건립

안정되게 지내가 일본에 불교 전파

진흥왕의 배신-관산성 전투 입니다. 그리고 북한산비가 건립됩니다.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초인 채택 358 2020-08-12 00:00
지식서포터즈


단양 적성비는 성왕과 진흥왕이 함께 한강 유역을 탈환한 기록 입니다 (551)

노리사치계 일본에 불교를 전파(552)

그 다음 관산성 전투로 보시면 됩니다..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평민 채택 0 2019-11-22 20:53
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성왕의 업적을
A 단계, B 단계, C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A 단계는 사비 천도, 남부여 국호 개칭 시기이며
B 단계는 성왕의 업적을 볼 수 있는 단계(5부 5방, 22 실무관청 설치, 일본에 불교 전파 등)입니다.
C 단계는 성왕이 관산성 전투에서 패한 이후의 상황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C 단계 이후에 진흥왕 순수비가
나오게 되죠.
질문에 대한 내용을 확인해보니까
단양 적성비는 성왕과 진흥왕이 함께 한강 유역을 탈환하였던 551년입니다.
그리고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하는 건 552년이 맞습니다.
단양 적성비 건립 이후에 일본에 불교 전파 한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C 단계의 기준을 한강 하류 차지한 것으로 보지 말고 관산성 전투로 본다면 A,B,C 단계가 정확하게 구분됩니다.
관산성 전투 이후에 북한산 순수비를 비롯한 진흥왕 순수비가 건립되었음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