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문제 질문드립니다
2020.01.21 yes***** 조회 584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단어는?  -이 문제에서 4번이  두음법칙에 해당하나요?

㉠ 님금 → 임금   ㉡ 랑군 → 낭군 

댓글 /1000
답변 1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채택 3666 2020-04-03 01:17
지식서포터즈

어두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자음군이 오는 것을 기피한다. 중세국어에서 어두에 쓰인 ‘ㅄ,

ㅴ, ㅳ, ㅵ’ 등을 자음군으로 보는데 이들은 후에 경음으로 바뀌었으며 현대 국어에서는

어두자음군이 없다고 합니다

중세국어의 두음법칙


유음인 ‘ㄹ’탈락시키거나 ‘ㄴ’으로 바꿈--15세기라귀>나귀, 랑군>낭군  

구개음화된 ‘ㄴ’탈락시킴--  - 18세기 이후닢>닙, 님>임, 녀름>여름

겹자음 된소리(각자 병서)로 바꿈---   16세기 말다>쓰다, ?다>뜨다


그래서 4번도 중세 두음법칙이랍니다.



[출처] Ⅲ. 소리에 관한 것|작성자 이향

 인터넷에 퍼 온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