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관련 질문 있습니다!
2019.12.17 비공개 조회 3,792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현대국어에서는 자음+모음 개수를 셀때 이중모음은 포함하지 않고 단모음만 포함해서 24개 인데
중세국어는 자음+모음 개수를 셀때 이중모음 ㅑ,ㅕ,ㅛ,ㅠ를 포함해 모음을 11개로 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현대국어에는 모음에 포함되지 않는 이중모음의 수가 중세국어에는 포함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재출자 ㅑ,ㅕ,ㅛ,ㅠ는 단모음이 아니여도 모음의 개수에 포함하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1000
답변 1개
비공개님의 답변입니다.
평민 채택 0 2019-12-17 21:07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중세국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단모음:   ㆍ, ㅡ, ㅣ, ㅏ, ㅓ, ㅗ, ㅜ  (7개)
2. 이중모음: ㅔ,ㅐ, ㅚ, ㅟ, ㅑ, ㅕ, ㅛ, ㅠ ........(개수 불확실)
중세국어의 모음의 개수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11개라고 하는 것은 제자원리에 의해 설명한 '기본자-초출자-재출자'만을 의미합니다.
그러다가 1933년에 이것을 정리하여,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정리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즉 중세때는 이중모음인 'ㅔ, ㅐ, ㅚ, ㅟ'를 오늘날에는 단모음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대국어에서의 기본 24자에서 모음은 중세와 비슷하게, 'ㅡ, ㅣ, ㅏ, ㅓ, ㅗ, ㅜ, ㅑ, ㅕ, ㅛ, ㅠ'(10개)입니다.
오늘날 단모음 10개(ㅡ, ㅣ,ㅏ, ㅓ, ㅗ, ㅜ, ㅔ, ㅐ, ㅟ, ㅚ)랑은 구별을 해야 합니다.^^
정리하면,
오늘날 기본 24자 중 모음 10개 : 'ㅡ, ㅣ, ㅏ, ㅓ, ㅗ, ㅜ, ㅑ, ㅕ, ㅛ, ㅠ'(중세와 비슷)
오늘날 단모음 10개 : ㅡ, ㅣ,ㅏ, ㅓ, ㅗ, ㅜ, ㅔ, ㅐ, ㅟ, ㅚ 입니다.
감사합니다.
‘일반질문 > 소방’ 분야 인기질문